종합소득세를 신고하라고는 하는데, 내가 얼마를 내야 하는지 도통 감이 안 온다면? 이 글에서는 종합소득세 계산 과정을 가장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. 실제 예시도 함께 보면서, 어렵게만 느껴졌던 세금 계산을 확실히 이해해 보세요.
종합소득세 계산, 이렇게 흘러갑니다
총수입금액 - 필요경비 = 소득금액
소득금액 - 각종 공제 = 과세표준
과세표준 × 세율 = 산출세액
산출세액 - 세액공제 = 결정세액
1️⃣ 1단계 : 총수입금액 – 필요경비
- 총수입금액: 1년간 벌어들인 전체 수입
- 필요경비: 업무를 위해 실제로 쓴 비용 (사업장 임대료, 재료비, 광고비 등)
👉 단순경비율 또는 간편 장부로 신고하는 분이라면 경비율이 자동 적용됩니다.
2️⃣ 2단계 : 소득금액 – 각종 공제
- 인적공제: 본인 150만 원 + 부양가족당 150만원
- 특별공제: 의료비, 교육비, 보험료, 기부금 등
- 표준공제 or 항목별 공제 중 선택
3️⃣ 3단계 : 과세표준 × 세율
과세표준이 정해지면,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.
(자세한 세율은 [3편: 세율구간]에서 확인 가능)
4️⃣ 4단계 : 산출세액 – 세액공제
- 세액공제: 자녀세액공제, 보험료세액공제 등
- 최종적으로 납부할 금액이 결정됩니다.
✅ 예시로 보는 종합소득세 계산
- 총수입 : 5,000만 원
- 필요경비 : 2,000만 원 → 소득금액 3,000만 원
- 공제 : 인적공제 150만원 + 기타 300만 원 → 총 450만 원
- 과세표준 : 3,000만 원 - 450만 원 = 2,550만 원
- 적용 세율 : 15% (1,200만 초과 ~ 4,600만 이하 구간)
- 산출세액 : 대략 30만 원대 (누진공제 포함 후 계산)
📝 꼭 기억하세요!
- 실제 계산은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시스템이 자동 처리! 직접 계산은 참고용!
- 하지만 구조를 이해해야 공제·절세 전략 세우기에 도움이 됩니다